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라도가 향토 음식 살표보기(왜 유독 특별한 것인가?)

by 황금사자대가리 2025. 10. 23.

 우리나라는 전국 방방곡곡 각 지역마다 고유한 향토 음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유독 전라도 음식은 독특하면 서도 전국적으로도 높은 인지도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왜 상대적으로 다른 지방과 달리 그 유명세와 확장성이 압도적인가에 대한 궁금증을 품고 한번 찬찬히 보도록 하겠다. 왜? 무엇이 그토록 차별화 되고 인기가 많은 것인가? 단순히 사람들의 입맛으로만 소비되기에는 궁긍증이 커서 아래와 같이 그 이유를 살표보기로 하겠다.그 이유는 단순히 맛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 식재료, 조리 방식 등 복합적인 요소가 어우러져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향토 음식의 개념

 향토 음식은 우선 특정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그 지역 사람들의 생활 방식, 환경, 지역 전통문화 등이 반영된 음식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요리가 아니고, 지역 정체성과 문화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각 도마다 특색 있는 향토 음식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경상도의 간장양념 베이스의 안동찜닭, 대구동인동 매운찜갈비,  부산(밀양)돼지국밥 등이 있고, 강원도는 산간 지형을 반영한 곤드레밥, 감자옹심이, 황태국 등이 있다. 충청도는 올갱이국 ,도리뱅뱅이 처럼 평범하고 수수한 맛을 선호하며, 경기도는 서울과 가까워 다양한 요리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제주도는 특산물인 돼지고기를 이용한 고기국수, 풍부한 해산물을 이용한 식문화가 형성되어 옥돔구이, 몸국, 자리돔회 등이 유명하다. 이처럼 그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향토 음식이 존재하지만, 전라도 음식은 특히나 “깊은 맛과 정성” “풍성함”, 고급진” 이라는 공통된 평가를 받고 있으며, 다른지역과는 차별화된 입지를 가지고 있다..

전라도 음식만의 차별화된 특징

전라도 향토 음식이 특별하다고 여겨지는 데에는 몇 가지 차이가 있는데 우선, 풍부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라는 것이다. 전라도는 바다, 산, 평야, 강들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다양한 식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있다. 특히나, 쌀을 풍족히 생산해 낼수 있는 평야지대 또한 잘 발달되어 있어 여타의 지역에 비해 풍족하다라고 단언 할 수있다.해산물, 농산물, 축산물까지 모두 자급자족이 가능했던 전라도는 자연스럽게 어쩌면 필연적으로 먹는것에 진심인 우리민족의 입장에서는 식문화가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아주 잘 갖추고 있다라고 말 할수 있다. 
둘째, 조리법의 정성과 복잡성입니다. 이 이유 역시 먹는것에 진심이 우리 국민성과도 연관이 있는데 기왕이면 맛있게 라는 생각에 역시 부합된다. 전라도 음식은 대부분의 요리가 시간과 정성이 많이 들어간다. 예를 들어, 전주비빔밥만 해도 수십 가지 재료를 따로따로 손질해서 조리해야 하고, 한정식은 10여 가지 이상의 반찬이 한 상에 오른다. 이러한 음식 문화는 손님을 대접한다라는 전통이 깃든 것으로, 손님을 환대하는 우리의 문화가 있어 정성을 다하는 것이 계승 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맛의 균형과 조화입니다. 전라도 음식은 간이 세지도, 심심하지도 않은 ‘딱 맞는’ 맛을 지향합니다. 짜고 매운맛에 치우치기보다는 단맛, 감칠맛, 짠맛, 신맛이 균형 있게 어우러지는 조리법이 많습니다. 특히 장류 문화—일조량이 풍부하여 된장, 고추장, 간장 등 전통 장의 맛이 뛰어나고, 주변이 제다 바다라 젓갈류와 발효 음식도 잘 발달해 깊은 맛과 감칠맛을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넷째, 곳간에 인심이 난다라는 말이 있다. 풍부한 식재료에서 오는 여유와 관용이 넉넉한 인심과 자연히 대접문화와 연결이 되어 여타 지역에서의 살기위한 생존 식사를 한단계 뛰어넘은 요리로써의 의미가 생겼다고 본다. 결국 이러한 여러  요소들이 합쳐져 전라도 음식은 단순한 향토 음식이 아닌, 한국 음식 문화의 본질(정)을 담고 있는 전통한식으로의 평가를 받고 있는것 같다.

지금도 계승되고 있고 앞으로는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큰 전라도 음식

 이유야 어떻든 전라도 음식이 오랜 세월을 지내오며 현대에도 전통 방식을 고수하여 음식을 만드는 장인들이 많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재로 지정된 음식들도 많다. 전주비빔밥, 남도한정식, 여수 돌산 갓김치, 순창 고추장 등이 국가 혹은 지자체의 문화재로 등록되어 보존되고 있다. 또한 향토 요리 경연대회, 전통 요리 교육 프로그램, 전라도 음식 박람회 등 다양한 문화 행사와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어, 젊은 세대에게도 전통 음식의 가치가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있다. 단순히 계승만 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를 비유하자면 마치 하이브리드카 처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퓨전 요리도 꾀 많다. 전주비빔밥을 활용한 비빔밥버거, 남도반찬을 활용한 샌드위치, 갓김치 피자 등의 음식은 전통과 현대서양 음식들과 새롭게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전국 곳곳에 그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 음식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전라도 음식은 단연 돋보이는 전통과 정성을 지닌 식문화입니다. 풍부한 재료, 정교한 조리법, 균형 잡힌 맛, 그리고 문화적 계승 노력까지—전라도 음식은 한국을 대표하는 미식의 결정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필자 개인 입맛과 생각에 기반을 두고 있는 주장이므로 정확한 판단은 직접 맛을 보고 판단하시기 바란다.
그런데 진짜 팩트는 전라도 음식은 일단 음식 가지 수에서 압도적이라는 것이다.

전라도 한정식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