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원도 향토 음식 특징 및 대표음식(영동/영서/태백)

by 황금사자대가리 2025. 10. 22.

 강원도는 경상도나, 전라도, 충청도 처럼 남북도로 나뉘어 지어져 있지 않고 경기도가 한강이남과 이북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 처럼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크게 영서, 영동, 그리고 태백으로 나뉘어 져 있다. 과거에는 산맥에 가로막혀 동서간 왕래가 자주있지 않아 같은 행정도 안에서도 동서간의 자연 환경에 따라 지역별로 독특한 향토 음식이 독립적으로 발달하였고, 지리적 특성과 기후 조건에 따라 각기 개성있는 음식이 발달하였다. 따라서 권역별로 크게 3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영서지역 향토 음식특징

 영서 지역은 특히 태백산맥에서 내륙(평야 혹은 분지형) 위치해 있어 다양한 곡물, 채소, 감자 등 농산물 중심의 음식이 두루두루 발달였다. 가장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감자옹심이’를 들수 잇다. 감자를 강판에 갈고 전분과을 넣어 동그랗게 빚어 경단(옹심이)처럼 만들어 넣은 국물요리로, 쫄깃한 식감과 뜨끈하고 구수한 국물이 맛의 조화를 이룹니다. 특히 춘천, 횡성, 정선 등에서 맛볼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 많이 먹는 음식이다. 그리고 ‘메밀전병’과 ‘막국수’는 영서지역에서 매우 대중적인 음식이다. 주재료가 메밀을 이용하여 조리한 이 음식들은 소화가 쉽고 메밀의 유효성분인 루틴등으로 인해 건강한 음식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따라서 현대인의 식단에도 잘 어울린다. 막국수는 보통 비빔 이나 물막국수로 즐길 수 있고, 메밀전병은 속에 신김치나 돼지고기를 다져넣어 기름에지져 먹는 것이 특징이다. 곤드레밥 역시 영서 지역의 대표 음식이라고 볼 수있다. 곤드레는 부드럽고 고소한 식감이 특징이고, 갓 지은 밥에  간장과 양념을 함께 넣어 비벼 먹는다. 정선이나 평창 같은 지역에서 주로 먹는다. 이 음식은 산지 특유의 향을 그대로 담고 있어 영서 지역 향토 음식의 특징을 보여주고있다. 영서 지역은 산악지형과 같은  자연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로 건강하고 소박한 음식이 주를 이르고 있다.
 

2. 영동지역 향토 음식특징

 영동 지역은 지리적으로 태백산맥의 동쪽 즉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해산물등의 식재를 활용한  향토 음식이 발달해 왔다. 이 지역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는 속초지역의  ‘오징어순대’이다. 쉽게 생각해서 돼지의 내장이 아닌 신선한 오징어를 이용하여 소로는  각종 야채, 당면, 물을 짠두부 등을 넣고 강한 스팀으로 찐 요리로, 식감과 맛이 독특해 현지인 뿐만 아니라 속초를 찿는 관광객에게 특히인기가 많다. 그 원조의 시작은 속초이나 강릉등을 방문하면 주변 음식점에서 손쉽게 맛볼 수 있고, 지역 축제에도 쉽게 등장하여 허기진 배를 채워주곤 한다. 또 다른 대표 음식은 바로 ‘곰치국’입니다. 곰치는 생긴거로만 보면 정말 못생겨서 이런 생선이 다있난 쉽을 정도인데 이지역에서는 예로 부터 겨울철에만 잡히는 귀한 생선으로 대접받고 있으며, 그 특유의 맑은 국물과 얼큰한 맛(주로 김치가 들어가기도 한다)이 어우러져 해장국으로도 인기가 많이 있다. 강릉의 겨울철 곰치국은 특유의 감칠맛과 칼칼함과 쉬원한 맛 때문에  현지인뿐 아니라 미식가들에게도 유명하다. 다음은 황태 요리이다. 특히 인제, 고성 지역에서는 추운 겨울철 자연건조한 황태를 이용한 ‘황태구이’, ‘황태해장국’ 등을 만들어 먹는데, 이는 지리적인 조건을 잘 활용한 식문화의 한 예로 볼 수있다. 영동 지역의 음식은 바로 동해안을 내 밥상에 라고 단정지어 이야기 할 수 있다.
 

3. 태백지역 향토 음식 특징

 태백은 강원도 영서지역과 영동지역 중간에 있는고산지대에 위치해 있어 특유의 기후와 환경을 바탕으로 나름데로 독특한 향토 음식이 발달하였다. 대표 음식 중 하나는 ‘장칼국수’이다. 된장과 고추장을 적절한 배함으로 간을 맞춘 칼칼한 국물에 쫄깃한 칼국수 면이 어우러지는 이 음식은 강원도가 원조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강원도가 산간 지역이 다보니 짧은 일조량과 긴 겨울철을 잘 보낼수 있는 음식들이 주를 이룬다 특히  따뜻하면서도 매콤한 맛으로 몸을 녹여주는 역할에 방향성을 둔 음식들이 많다. 태백은 탄광 문화와 함께 발전한 지역으로 ‘추어탕’과 같은 보양식도 유명합니다. 산간지방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미꾸라지를 활용해 영양이 풍부한 국을 만들고, 이를 통해 힘든 노동을 견뎌온 과거 지역민들의 삶이 음식에 녹아들어 있다. 태백은 탄광 문화와 함께 발전한 지역으로, 영양 보충을 위한 식문화가 두드러졌던 것도 이 같은 음식들의 배경이 되고 있다. 또한 고랭지 채소를 활용한 음식들도 태백 지역에서 쉽게 먹을 수 있다. 특히. 고산지대의 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서 채소들은 단맛과 식감이 뛰어나고, 이런 채소들이 태백 향토 음식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태백의 향토 음식은 척박한 환경과 강한 노동력 속에서 발달한 실용적이고 영양가 높은 음식으로, 지역민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치는 글

 강원도는 같은 강원도 내에서도 태백산맥이라는 큰 산맥이라는 지리적인 특색으로 인해 동서로 나뉘어 각 지역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활 방식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지역음식을 발전시켜 왔다. 영서지역은 농산물(야채 등) 중심, 태백은 고산지대의 특성을 살린 음식,  영동은 해산물 중심으로 각각 발달해 왔다. 이런 음식들은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더 깊이 이해했을때 더 맛있게 즐길수 있다, 여행 중 만나는 강원도 향토 음식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그 지역의 서사가 남아있어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다. 이제 강원도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각 지역의 대표하는 음식들을 직접먹어보고 선택이 필수가 되어버린 강원도 향토 음식을 맛보길 바란다.
 

강원도 대표음식 감자옹심이 사진